○농지의 타용도일시사용기간은 3년 이내로 한다(다만, 법 제36조제1항제2호에 해당하면 그 주목적 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기간 이내로 한다)고 규정하고 있으며, 농지의 타용도 일시사용기간을 통산하여 3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연장할 수 있음
-이때, 통산하여 3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는 의미는 허가받은 기간 외에 추가로 연장되는 기간이 3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함
○따라서, 주목적사업(해당 농지에서 허용되는 사업에 한함)을 위하여 현장사무소나 부대시설,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시설을 설치하거나 물건을 적치․매설하는 경우는 주목적 사업의 시행에 필요한 기간까지 연장이 가능하며,
-이 외의 경우는 당초 허가받은 기간 외에 추가로 3년의 범위내에서 연장이 가능함
'각종개발사업 > 인허가 FA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농지전용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지 여부 및 이때 농지보전부담금의 부과 및 환급은? (0) | 2017.06.12 |
---|---|
농지전용신고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지? (0) | 2017.06.05 |
농지의 타용도일시용허가 대상은? (0) | 2017.06.05 |
절토, 성토 등 농지개량행위의 구체적인 기준은? (0) | 2017.06.05 |
관리지역안의 농지에서 음식점이나 제조업소 설치가 가능한지 여부 (0) | 2017.06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