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2007.7.4부터 개정농지법에 따라 축사부지가 농지에 포함되게 되어, 7.4이후 농지위에 축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농지의 전용허가(신고)를 거치치 아니하고 가능하게 됨
-7.4 이전에는 농지내 축사설치를 위해서는 농지의 전용허가(신고)를 받아야 했음
○따라서, ‘07.7.4이전에 전용허가(신고)를 받아 축사가 설치 완료된 농지는 농지전용이 완료된 토지로서, 이는 농지법상 농지가 아니므로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지 않고 취득이 가능함
- 다만, ‘07.7.4 이전에 불법으로 축사가 농지에 설치되었다면 원상복구 후에 농지취득자격증명을 신청해야 함
○‘07.7.4 이후에 축사가 설치된 경우에는 그 축사의 설치 부지도 농지에 포함되므로, 신청대상 농지에 대한 농업경영계획서를 검토하여 취득자격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임
- 축사설치 농지를 다년생식물 재배 및 농작물 경작에 활용코자 취득시에는 축사를 원상복구하는 등의 조치를 거쳐 취득이 가능할 것임
출처: 농지민원사례집-농림축산식품부
'각종개발사업 > 인허가 FA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경의 의미 및 고령자의 농지 임대차 가능 여부 (0) | 2017.05.29 |
---|---|
법원판결에 의하여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 없이 농지 소유가 가능한지? (0) | 2017.05.29 |
미성년자의 증여에 의한 농지 공동 지분 취득 가능 여부 (0) | 2017.05.29 |
6세인 손자에게 농지를 상속(유증)할 수 있는지? (0) | 2017.05.29 |
전용허가 받은 농지를 경락 받은 경우 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는 방법은? (0) | 2017.05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