◦ 상속으로 취득한 농지를 상속 받은 자가 계속 농업경영을 하는 경우에는 소유제한이 없음
◦ 그러나, 상속으로 농지를 취득한 자로서 농업경영을 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상속 농지 중에서 총 1ha 까지만 소유할 수 있음(법 제7조제1항)
-이를 초과하는 상속농지는 추가 2ha까지 농지은행에 위탁하여 임대시 본인의 농업경영에 활용하지 않더라도 소유 가능
- 상속으로 농지취득시에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지 않고도 소유권이전 등기 가능(법 8조제1항의1호)
- ‘상속’은 사람의 사망을 원인으로 하여 행하여지는 포괄적인 재산상의 법률관계의 승계를 뜻하며, 상속의 범위는 민법에 따라 판단해야 할 것이므로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상속을 입증하는 서류, 관련 재판결과 등을 통하여 판단하면 됨
출처: 농지민원사례집-농림축산식품부
'각종개발사업 > 인허가 FA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목이 임야인 토지가 농지인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는지? (0) | 2017.05.09 |
---|---|
주말체험영농 목적 농지의 경작 여부를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? (0) | 2017.05.09 |
건축주가 동일한 경우 인접 건축물의 적용여부 (0) | 2017.05.09 |
건축물의 전부 또는 일부 등의 의미 (0) | 2017.05.09 |
주상복합건물 중 상가를 1인에게 판매하는 경우 (0) | 2017.05.09 |